중국 증시 ‘깜짝 반등’에도 “구조적 문제 해결 전엔 위험” 경고 잇따라

中 정부 ‘증시 살리기’에 360조원 투입 계획
“본토 A주 저평가, 투자 적기” 주장
증시 변동성 요소 산적, 일회성 대책으론 역부족
shanghai_getty_20240208
상하이 전경/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바닥까지 추락하며 5년 이내 최저 수준을 기록한 중국 증시가 급반등에 성공했다. 정부가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된 공매도를 금지하고 국부펀드를 앞세워 본토 주식을 대량 매입한 데 따른 결과로, 전문가들은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일회성 대책만으로는 증시를 살리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연이은 주가 하락에 투자자 이탈 가속화

8일 주식 시장에 따르면 전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4% 오른 2829.7로 장을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 역시 전장보다 2.93% 상승한 8708.24로 거래를 마쳤다. 두 지수 모두 이틀 연속 가파른 상승세로, 시장은 중국 당국의 주가 부양책이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풀이했다.

앞서 6일(현지 시각) 중국 중앙후이진공사는 상장지수펀드(ETF)의 보유 비중을 늘렸다고 밝히며 이같은 비중을 추가 확대해 중국과 홍콩 주식 시장의 하락을 방지하겠다고 알렸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나 기간 등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 없다. 2003년 12월에 설립된 국부펀드 중앙후이진공사는 중국은행과 중국공상은행, 중국건설은행, 중국농업은행 등 중국 4대 국유은행의 최대 주주다.

이날 중앙후이진공사의 발표 직후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위) 관계자는 “최근 본토 A주가 역사적으로 저평가된 상태인 만큼 중장기 투자를 염두에 둔 다수의 기관투자가가 투자 적기로 보고 있다”고 전하며 “중앙후이진공사가 지속적으로 주식 보유량을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 밖의 공모·사모펀드, 증권사, 연기금 등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 주식 시장 안정화를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중국 당국이 주가 부양에 열을 올리는 것은 새해 들어 하락을 거듭한 증시에 투자자들이 불만을 쏟아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상하이종합지수와 홍콩H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9%가량 하락했고, 상하이·선전 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300지수는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인공지능(AI) 활성화와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으로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들의 증시가 호황인 것과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 때문에 중국 본토 투자자들은 물론 ‘중학개미’라 불리는 우리나라 투자자들까지 빠르게 시장에서 발을 빼며 주가 하락을 가속했다.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이 상하이·선전 증권거래소에 투자한 주식 보관액은 지난해 3월 16억 달러(약 2조1,250억원)에서 같은 해 12월 10억 달러(약 1조3,280억원)로 40%가량 쪼그라들었다. 전기차 및 이차전지 관련주 등 일부 종목에 매수세가 몰리긴 했지만, 새롭게 시장에 진입할 만큼의 메리트가 없다는 게 시장 참여자들의 중론이다.

escchina_policy_20240208

중국 당국이 본격적으로 주가 부양에 돌입한 것은 지난 1월 29일로, 당시 증감위는 공매도 등 시장 부담을 키우는 거래를 막기 위해 일부 주식의 대여를 금지하고 나섰다. 이어 이달 5일에는 악의적 공매도에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하며 시장 회복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후 당일 매매 투자자에 대한 주식 대여를 금지하고, 부당 매매로 얻는 차익을 단속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관리 강화 조치를 내놓으며 감독 수위를 높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증감위로부터 주식 시장 현황과 증시 부양책 성과에 관한 내용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중국 정부는 2조 위안(약 368조5,8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자국 증시에 투입하는 등 적극적으로 주가 회복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기업 수익성 악화, 자본 시장 위축 가능성↑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회성 대책만으로는 중국 증시를 살리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시장의 자율성을 해치는 과도한 기업 규제, 성장률 둔화 등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주가 하락을 무작정 돈으로만 막으려 해서는 시장의 혼란만 가중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시 주석의 ‘공동부유(共同富裕, 다 같이 잘 살자)’ 같은 정책이 미국식 자본주의에 대한 믿음을 훼손한 게 중국 주가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중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행사하는 대기업들이 줄줄이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증시 변동성을 키우는 요소다. 대표적 사례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를 꼽을 수 있다. 알리바바는 7일 개장 전 지난해 4분기 매출이 2,603억4,800만 위안(약 47조9,48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2,477억5,600만 위안·약 45조6,292억원) 대비 5%가량 증가한 수준이지만, 시장 전망치(2,620억7,000만 위안·약 48조2,654억원)에는 미치지 못했다.

심지어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50억3,100만 위안(약 6조4,517억원)에서 225억1,100만 위안(약 4조1,465억원)으로 36% 감소했다. 기업의 수익성 악화는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업률 증가 등 자본 시장 위축을 불러올 가능성이 큰 만큼 알리바바의 기대 이하 실적 발표가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는 힘을 얻는 모습이다. 현재 중국 증시에서는 알리바바 외에도 징둥닷컴, 핀둬둬, 바이두 등이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